본문영역

  • 구강보건의 날, 함께 알아보는

    치과질환

    • 정리. 편집실
  • 지난 6월 9일은 정부가 구강보건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구강보건의 날이었다.
    처음 이가 날 때부터 인공치아에 의존하게 되는 날까지, 치아 질병 관련 통계(2020년 기준)를 살펴본다.
1 전체 환자 수
2,285만 명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4명 1인당 평균 3.4일 방문
2 치과 다빈도 질환 TOP 3 (전체 환자 대비 비율)

※환자 수는 진료횟수 등에 따라 중복집계 될 수 있음

1,627 만 명 31.4% 잇몸질환 1위 612 만 명 11.8% 충치 2위 388 만 명 7.5% 치수염 3위
3 연령별 다빈도 질환 TOP 2 (연령대별 환자 대비 비율)
충치 26.3% 치아 발육·맹출 장애 20.0% 잇몸질환 35.0% 충치 9.1% 잇몸질환 36.1% 치수염 10.1% 19세 이하 20세 이상 60세 이상
4 연령별 치과 시술(인구대비 환자 비율)
20대의 33.1% 30대의 31.2% 50대의 32.1% ※ 스케일링은 만 19세부터 연 1회 건강보험 적용 충치 떼우기 5~9세의 38.6% 임플란트 ※ 임플란트 건강보험 급여 확대 ('16년 65세 이상으로 대상 확대, '18년 본인부담률 50% ⇨ 30%로 완화) 65~69세의 12.4% 틀니 ※ 틀니 건강보험 급여 확대 ('16년 65세 이상으로 대상 확대, '17년 본인부담률 50% ⇨ 30%로 완화) 75세 이상의 4.2% ※ 12세 이하의 어린이가 영구치 충치 치료를 위한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을 하는 경우 건강보험 적용 12세 이하의 12.5%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 스케일링 ※ '17년 18세 이하 치아 홈메우기 본인부담률 감소 30% ⇨ 10% 19세 미만의 7.0% 치아 홈메우기 19세 이하 20세 이상 65세 이상
기타 유의사항
○ 건강보험 치과 외래 진료일 기준입니다.
○ 질병은 주상병 기준이며 최종 확정된 질병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연령별 환자는 진료비 명세서에 기재된 수진자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계산한 나이이며, 진료시점에 따라 중복집계 될 수 있습니다.
※ 치과 관련 더 자세한 비급여진료비 정보는 아래 경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 > 진료비 > 비급여진료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