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03
중환자실 3차 적정성 평가 결과
문의 : 평가실 평가3부 김우경 대리(033-739-5515)
평가 배경
및 목적
  • • 중환자실은 중증의 환자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전문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곳으로 적절한인력, 장비, 감염에 대비한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 이에 요양기관별 중환자 관리에 관한 전반적인 측면 등을 평가하여 중환자실 의료서비스 질향상을 도모하고자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평가 대상
및 기준
  • 평가 기간
  • • 2019년 5월 ~ 7월(3개월)
  • 대상 기관
  • •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중 청구 건수 10건 이상인 기관
  • 대상 환자
  • • 만 18세 이상, 일반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신생아·소아 중환자실 입원환자, 화상환자, 중환자실 입실기간 48시간 미만인 환자 제외
평가 지표
영역 지표명 지표해석
구조 ①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낮을수록 좋음
②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③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높을수록 좋음
④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과정 ⑤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 높을수록 좋음
⑥ 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결과 ⑦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낮을수록 좋음
지표별 결과
• 3차 중환자실 평가 결과, 중환자실 진료환경 및 의료서비스 질 전반적으로 개선
- 평가지표 7개 중 6개 평가지표 개선, 간호사 1인당 병상수는 소폭 증가
결과값이 높을수록 우수한 항목
  •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중환자실에서 환자가 호흡부전이나 쇽, 다장기 부전증 등에 빠졌을 때 전문 장비가 환자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해 평가 합니다.
  •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중환자 진료에는 표준화된 진료 지침과 프로토콜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통한 진료가 환자의 예후를 좋게 합니다.
  •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 중환자실 내에 인공호흡기의 장착 환자는 여러 가지 위험 인자가 있는 경우가 많아 심부정맥 혈전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예방요법이 필요합니다.
  • 표준화 사망률 평가 유무 병원 스스로 중증도 평가를 통해 환자를 보다 적절하게 치료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결과값이 낮을수록 우수한 항목
  •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중환자실 전담전문의가 있는 경우 중환자실 진료 수준이 올라가고 환자 예후가 좋아집니다.
  •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중환자실 내 간호사가 돌보는 환자 수가 적을수록 중환자실 진료 수준이 올라갑니다.
  •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동으로 전실 후 48시간 이내에 다시 중환자실로 재입실 할 경우 전실 당시 부적절한 상태에서 조기 퇴실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종합 결과
  • 1등급 기관 증가 및 전국 모든 권역에 분포,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편차 감소
  • • 평가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 평가결과는 지표별로 합산한 종합점수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하여 공개하였으며, 평가대상 건수가 적어 종합점수를 산출하지 않은 기관은 ‘등급제외’로 공개하였습니다.
    - 1등급은 81기관으로 2차 64기관 대비 17기관 증가하였습니다.
  • * 3차 등급별 기관 분포
    등급(점수구간) 전체
    2차 3차
    전체 280기관(100%) 287기관(100%)
    1등급(95점 이상 ~ 95점 미만) 64기관(22.8%) 81기관(28.2%)
    2등급(75점 이상 ~95점 미만) 47기관(16.8%) 51기관(17.8%)
    3등급(55점 이상 ~ 75점 미만) 89기관(31.8%) 89기관(31.0%)
    4등급(35점 이상 ~ 55점 미만) 61기관(21.8%) 53기관(18.5%)
    5등급(35점 미만) 19기관(6.8%) 13기관(4.5%)
    등급 제외(평가 대상 10건 미만) 2기관 -
  • 종합점수 현황
  • • 권역별 1등급 기관수 분포 현황
    - 중환자실 1등급 의료기관은 81기관으로, 전국 모든 권역에 분포하였으며, 1등급 기관수는
    서울 ▶ 경기권 ▶ 경상권 순으로 많습니다.
종합 결과
  • • 중환자실 3차 평가결과가 낮은 의료기관 등을 중심으로 질향상 지원 사업을 실시할예정입니다.
  • ※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결과 세부내용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www.hira.or.kr) ▶ 병원·약국 ▶ 병원평가정보 ▶ 중환자실
    - 모바일 앱 : 건강정보 ▶ 병원평가정보 ▶ 중환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