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
환자경험
평가란?
-
-
• 환자를 존중하고 개인의 필요와 선호, 가치에 상응하는 진료를 제공하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로, 환자가 직접 경험하고 보고한 입원경험 내용을 바탕으로 의료 질 수준을 평가합니다.
-
• 2017년 1차 환자경험 평가를 도입하여 ’18년 8월(1차), ’20년 7월(2차) 평가결과를 공개하였으며, 2차 평가결과 의료진의 존중과 예의(87.81점), 경청(87.44점) 등 대인적 측면의 문항 점수는 비교적 높은 반면, ‘불만 제기 용이성(71.58점)’, ‘의사와 만나 이야기 할 기회(74.37점)’ 점수는 낮은 수준으로 환자 중심성 의료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 이에 환자경험 평가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의료서비스 영역에서 환자의 가치가 존중되고 진료파트너로서 역할 참여 등 국민이 체감하는 의료 질 향상을 통한 환자중심 의료 문화 정착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평가 대상
-
- 대상 환자
-
• 만 19세 이상 성인으로 1일 이상 입원 환자
• 퇴원 이후 2일에서 56일(8주) 사이에 있는 환자
* 제외대상 : 낮병동·완화병동·소아청소년과·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
* 선정 : 2021년 5월 이후 청구자료 기반
- 대상 기관
-
•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21.1월 말 기준)
- 조사 내용
(설문지)
-
• 입원 중 환자가 경험한 의사/간호사 영역, 투약 및 치료과정,병원환경, 환자권리보장 등
-
조사·평가
방법
-
- 가. 조사방법
-
• 퇴원환자 진료내역을 기반으로 평가대상자 선정
-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입원서비스를 경험한 국민에게 전화조사 실시(전문조사업체 위탁)
- 나. 평가방법
-
• 조사대상자 및 요양기관별 결과 산출
-
• 문항별 점수는 선형화 방식 적용
- (입원경험 5개 영역) 4점 척도(0/33/67/100점), 2점 척도(0/100점)
- (전반적 평가 1개 영역) 11점 척도(0~100점까지 10점 단위 점수)
-
• 요양기관별로 환자구성이 다른 부분을 감안하여 분포 보정
-
• 요양기관별 환자경험 문항별·영역별 점수 산출
-
평가 일정
-
-
• 2021년(3차) 환자경험 평가 세부추진계획 공개(’21.2월)
-
• 요양기관 대상 환자경험 평가 온라인 설명회* 개최(’21.3월)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 지침에 따라 비대면 방식으로 실시
-
요양기관별 평가결과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 병원평가정보 ▶ 분야별 ▶ 환자경험
-
평가 도구
(설문지)
-
구분 |
평가영역 |
번호 |
문항내용 |
비고 |
입원 경험 |
1.간호사 영역 |
1 |
존중/예의 |
4점 척도 |
2 |
경청 |
3 |
병원생활 설명 |
4 |
도움 요구 관련 처리 노력 |
2.의사 영역 |
5 |
존중/예의 |
6 |
경청 |
7 |
의사와 만나 이야기할 기회 |
8 |
회진시간 관련 정보 제공 |
3.투약 및 치료과정 |
9 |
투약/검사/처치 관련 이유 설명 |
10 |
투약/검사/처치 관련 부작용 설명 |
11 |
통증 조절 노력 |
12 |
질환에 대한 위로와 공감 |
13 |
퇴원 후 주의사항 및 치료계획 정보 제공 |
2점 척도 |
4.병원 환경 |
14 |
깨끗한 환경 |
4점 척도 |
15 |
안전한 환경 |
5.환자권리보장 |
16 |
공평한 대우 |
17 |
불만 제기의 용이성 |
18 |
치료 결정 과정 참여 기회 |
19 |
신체 노출 등 수치감 관련 배려 |
6.전반적 평가 |
20 |
입원경험 종합 평가 |
11점 척도 |
21 |
타인 추천 여부 |
개인특성 |
22 |
입원경로(응급실 이용 여부) |
보정 변수 검토 |
23 |
주관적 건강수준 |
24 |
교육수준 |
Sub P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