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은 암의 뒤를 잇는 사망원인이며, 심각한 후유증이 동반될 수 있는 질환이다.
지난 5년간 연평균 환자 수 증감률을 보면 심근경색 4.0%, 뇌경색 1.6%로 증가 추세다.
또 2023년 월별 입원 환자 수가 1월에 가장 많은 것을 보면 겨울철에 심뇌혈관질환이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다빈도 동반질병 1, 2위로 꼽힌 이상지질혈증과 고혈압에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다.
정리 편집실 /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실 빅데이터전략부
2023년 환자 수, 진료비 등
심근경색 전체 환자 수 139,147명 남성 78.9% 109,748명 여성 21.1% 29,399명 1인당 평균 진료비 3,457,000원 1인당 평균 입·내원일수 5.3일이다. 뇌경색 전체 환자 수 536,179명 남성 58.2% 311,800명 여성 41.8% 224,379명 1인당 평균 진료비 3,193,000원 1인당 평균 입·내원일수 16.8일이다.
최근 5개년 환자 수 및 증감률
심근경색 2019년 남자 90,986명 여자 27,886명 총 118,872명 2020년 남자 94,555명 여자 27,676명 총 122,231명 2.8% 증가했다. 2021년 남자 99,091명 여자 27,975명 총 127,066명으로 2020년 대비 4.0% 증가했다. 2022년 남자 103,194명 여자 28,565명 총 131,759명 2021년 대비 3.7% 증가했다. 2023년 남자 109,748명 여자 29,399명 총 139,147명 2022년 대비 5.6% 증가했다. 연평균 증감률은 4.0%이다. 뇌경색 2019년 남자 280,318명 여자 222,923명 총 503,241명 2020년 남자 282,027명 여자 216,994명 총 499,021명 0.8% 감소했다. 2021년 남자 290,111명 여자 218,304명 총 508,415명 2020년 대비 1.9% 증가했다. 2022년 남자 299,188명 여자 220,345명 총 519,533명 2021년 대비 2.2% 증가했다. 2023년 남자 311,800명 여자 224,370명 총 536,179명 2022년 대비 3.2% 증가했다. 연평균 증감률은 1.6%이다.
2023년 월별 입원 환자 수
심근경색 1월 3,223명,2월 2,677명,3월 3,018명,4월 2,805명,5월 2,973명,6월 2,779명,7월 2,815명,8월 2,791명,9월 2,662명,10월 2,913명,11월 2,784명,12월 2,826명 뇌경색 1월 25,582명,2월 23,883명,3월 24,528명,4월 24,211명,5월 24,524명,6월 24,544명,7월 24,426명,8월 24,866명,9월 23,915명,10월 24,371명,11월 24,353명,12월 24,616명
2023년 다빈도 동반질병 환자 수 및 비율 (상위 10순위)
심근경색 동반질병 비율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 19.2%,본태성(원발성) 고혈압 13.5%,협심증 9.0%,만성 허혈심장병 7.8%,2형 당뇨병 7.4%, 심장과 혈관 삽입물 및 이식편의 존재 6.3%, 심부전 5.2% 목구멍 및 가슴의 통증 3.6%,위-식도역류병 3.4%, 상세불명의 당뇨병 2.4% 뇌경색 동반질병 비율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 17.3%,본태성(원발성)고혈압 14.8%,편마비 5.0%,2형 당뇨병 4.4%,심방세동 및 조동 3.2%,위염 및 십이지장염 3.2%,위-식도역류병 2.7%,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2.7%,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뇌전동맥의 폐쇄 및 협착 2.6%,전정기능의 장애 2.3%
자료 분석 기준
1) 분석연월: 건강보험 심사연월 기준 2019년 1월~2023년 12월
※ 단, 월별 환자 수는 진료연월 기준 산출
2) 분석 대상
ㆍ우측 상병*으로 청구된 요양급여비용 명세서
(주상병 관련기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통계청)
ㆍ동반질병은 제1부상병 기준 추출
ㆍ약국 조제(직접, 처방) 및 한방상병 제외
3) 기타
ㆍ환자 수는 범주 내 동일인의 중복을 제거한 값이나,
타 범주와 단순합산할 경우 중복발생 가능
* 심근경색 및 뇌경색 상병
심근경색 및 뇌경생 상병 심근경색 질병코드 I21 내용 급성신경경색증, 심근경색 질병코드 I22 내용 후속심근경색증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질병코드 I63 내용 뇌경색증
'건강 만들기' 에서
관련 내용이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