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 의료수가실 재택의료수가부
정유진 과장(033-739-1613),
한소영 대리(033-739-1614)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개선
• 장애인 건강 주치의 시범사업은?
중증장애인의 건강 및 장애 상태를 평가하고 교육·상담, 비대면 환자관리, 방문진료·간호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제도로서 2018년 5월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 무엇이 바뀌었나요?
기존 서비스인 포괄평가 및 계획수립, 교육·상담, 방문서비스에 중간점검 및 정기적인 비대면 환자관리를 신설하여, 연간 약 13,000원만 부담하면 포괄적인 건강 및 장애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포괄평가 및 계획수립 1회, 교육·상담 3회, 환자관리 3회 기준
** 차상위계층 및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본인부담금 없음
장애인 치과
주치의 시범사업
• 장애인 치과 주치의 시범사업은?
중증장애인의 치아, 잇몸 등 구강상태를 평가하고 불소도포, 치석제거, 구강 보건교육을 연간 19,000원만 부담하면 지속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차상위계층 및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본인부담금 없음
• 참여 지역은?
부산, 대구 남구, 제주 제주시입니다. 추후 변경 또는 추가될 수 있습니다.
시범사업
참여 방법
① 시범사업 교육 신청: 국립재활원 중앙장애인보건의료센터 홈페이지(www.nrc.go.kr)
⇢ 교육지원/교육신청(장애인 건강 주치의)
② 온라인 교육 수강: http://mydoctor.kohi.or.kr ⇢ 이수 완료 시 이수증 우편 발송
③ 장애인 주치의 등록: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요양기관 정보마당) 또는 지사(팩스, 우편, 방문) 신청
① 시범사업 의료기관 찾기: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건강iN ⇢ 건강정보
⇢ 병(의)원 정보 ⇢ 장애인 건강 주치의 의료기관 찾기(주치의 정보 및 의료기관 장애인 편의시설 현황 확인 가능)
② 의료기관 방문: 주치의와 상담 후 이용 신청
③ 이용 신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요양기관 정보마당) 또는 지사(팩스, 우편, 방문) 신청
시범사업의 자세한 내용은
장애인 주치의 이용신청: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장애인 주치의 서비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644-2000으로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