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라이프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

ESG

최근 몇 년간 ESG 경영이 기업의 미래와 생존을 좌우하는 전 세계적 화두로 떠올랐다. 기업의 경영 가능성을 평가하는 비재무적 요소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았다. 2030세대 사이에서는 ESG 경영 여부가 기업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등 ESG 열풍이 뜨겁다.

편집실

더는 간과할 수 없는 환경

기후변화를 체감하는 요즘, 기업의 책임은 커질 수밖에 없다. 탄소배출을 줄이고 플라스틱을 적게 배출하는 등 적극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 커피 전문점이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제공하고 개인컵을 사용하는 고객에게 할인을 해주거나, 화장품 회사가 용기를 수거해 재활용하는 것, 식품회사가 포장재에서 불필요한 플라스틱 트레이를 제거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소비자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이슈

한때 기업 총수나 그 가족의 ‘갑질’이 사회문제였다. 소비자들은 이제 더는 이를 가만히 지켜보지 않는다.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기업 제품을 적극적으로 불매한다. 하지만 ‘착한 기업’에는 지갑을 열어 응원을 보낸다. 환아 돕기, 장애인 일자리 지원 등 꾸준하게 사회공헌활동을 진행하는 한 식품회사는 ‘착한 기업’의 대표 격으로 불리며 소비자들의 큰 지지를 얻고 있다.

투명한 기업 운영

앞서 소개한 E와 S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G가 우선되어야 한다. 기업은 법과 윤리를 준수하여 투명하게 운영해야 한다. 수평적 의사결정 구조를 구축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전 세계적 흐름

글로벌 트렌드로 부상한 ESG는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말로,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를 뜻한다. 기업을 평가할 때 재무적 성과 위주로 판단하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경영의 지속가능성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비재무적 요소다. 지난 2000년 영국을 시작으로 캐나다, 독일, 프랑스, 스웨덴 등 여러 국가에서 ESG 정보 공시 의무제도를 도입했다. 우리나라도 오는 2025년부터 자산 총액 2조 원 이상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ESG 공시 의무화가 도입되고,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그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다.

기업의 사회적책임이 강조되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흐름은 아니다. 소비자들이 ‘착한 기업’에 관심을 가지면서 기업이 올바르고 정당한 과정을 통해 수익을 내는지, 사회적책임을 다하고 있는지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개인까지 영향력이 커진 ESG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이 일상 속에서 ESG를 실천하는 모습이 더는 낯설지 않다. 기업 차원의 일과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을 분리해 자신의 자리에서 ESG를 실천하는 사람이 늘었다. 이들은 ESG 를 실천하 는 기업 제품 을 소비하여 힘을 실어주거나, ESG 관련 문제에 경각심을 가져야 할 기업에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

새로운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들도 ESG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MZ세대 구직자 1,1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ESG 경영 기업 취업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51.6%가 ‘취업 희망 기업 선정 시 기업의 ESG 경영 여부를 확인한다’고 답했으며 6 4.6%는 ‘이왕이면 ESG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에 입사하고 싶다’고 답했다. 반면 ‘연봉과 근무환경이 만족된다면 기업의 ESG경영 실천 여부는 상관없다’고 응답한 구직자는 14.6%에 불과했다.

특정 기업과 세대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가 ESG라고 인식하지 못했던 것까지 삶의 전반에 영향을 주는 ESG 요소가 많다. 순간의 유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기업이 지속적으로 ESG를 실천할 때 진정한 ESG의 가치가 드러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