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위기탈출! 응급처치법

갑자기 숨쉬기 어려운
천식·만성폐쇄성폐질환
응급처치

정리 편집실
참고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원인인 천식

천식은 유전적·환경적인 요인이 작용해 발생하는 알레르기 염증반응이 폐와 기관지에 나타나는 질병으로, 기침이 나고, 숨을 잘 쉴 수 없으며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나타난다.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시작된다.

천식의 주요 증상

·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과 가습 답답함을 호소한다.

· 기침 밤에 기침과 호흡곤란으로 잠을 깨거나 천식 발작을 반복한다. 천식 발작은 가벼운 증상부터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경우까지 나타나는 정도가 다양하다.

· 천명 가슴에서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며 목에서 들리기도 한다.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증상

· 앉아 있거나 천천히 걸어도 숨쉬기가 힘들다.

· 입술, 혀, 손끝과 발끝이 파래진다.

· 밤에 기침이 나고 숨이 차서 잠들기 어렵다.

· 식은땀이 나고 정신이 몽롱해진다.

· 호흡과 맥박이 빨라진다.

· 평소에 하던 활동을 계속하기 어렵다.

· 속효성 기관지확장제를 투여해도 좋아지지 않는다.

발작 시 응급처치 방법

· 안정 취하기 의자에 편안하게 앉힌 다음, 천천히 깊게 숨을 쉬게 하고 최대한 편안하게 옷의 단추를 풀거나 시계 등을 제거한다.

· 증상완화제 투여 속효성 기관지확장제를 정량식 분무기나 연무기(네블라이저)를 사용해 흡입하게 한다. 효과가 없으면 20분 간격으로 2회 반복 투여할 수 있다.

· 응급실 이송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119에 신고하고, 이송하는 도중이라도 속효성 기관지확장제를 반복 흡입하게 한다.

흡연이 주원인인 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장기간에 걸쳐 기도가 좁아지는 폐질환을 말한다. 약 80~90%가 흡연이 원인이며 유전적 요인이나 직업적 노출, 대기오염과 호흡기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주로 40대 이상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주요 증상

· 호흡곤란 가장 중요한 증상이며, 장애 및 불안증의 주원인이다. ‘숨차다’, ‘숨쉬기 힘들다’, ‘숨쉬기 답답하다’, ‘숨을 헐떡인다’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한다.

· 기침 기침은 처음에는 간헐적으로 나타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매일 기침이 나며 때로는 하루 종일 지속되기도 한다.

· 가래 기침한 후에 흔히 소량의 끈끈한 가래가 동반되기도 한다.

· 천명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만 있는 특이적인 증상은 아니지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흉부 압박감 흔히 운동한 후 또는 새벽이나 아침에 발생하는데 흉부의 한 부위에 국한되지 않으며 늑간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 기타 피로, 체중감소, 식욕부진 등은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결핵, 폐암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된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증상

· 천명음이 흡입기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다.

· 화농성 가래가 생성되고 증가한다.

· 분당 호흡수가 증가하며 호흡곤란이 심하다.

· 청색증이 나타난다.

발작 시 응급처치 방법

· 기도 확보하기 기도 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배출을 도와 기도를 확보한다.

· 호흡 유지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 후 평소 사용하는 흡입기로 호흡 기능을 유지하며 119에 신고하고 환자 상태를 살핀다.

· 적절한 산소 포화도 유지 빠르게 119로 이송하며 적절한 산소 포화도를 유지한다.